* MBR 구조1
- MBR은 크게 3개 부분으로 나뉘어 진다.
- 부트 코드 부분: offset 0 - 445
- 파티션 테이블 부분: offset 446 - 509
- 시그니처 부분: offset 510 - 511
* MBR 구조2 - 디스크 시그니처
- 부트코드에는 디스크 시그니처 값이 포함된다.
- 디스크 시그니처: offset 440 - 443
- 디스크 시그니처는 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를 확인하는 값으로 MBR에 포함되어 있다.
- 디스크 시그니처는 레지스트르에도 그 값을 저장하고 있다.
* MBR 구조3 - 파티션 테이블
- 파티션테이블은 64바이트 크기로 총 4개의 파티션 정보를 가지고 있다.
- 파티션테이블은 총 4개의 엔트리로 구성되며
- 하나의 엔트리는 16바이트 크기로 하나의 파티션 정보를 가지고 있다.
* MBR 구조4 - 파티션 테이블 세부
- 파티션테이블을 하나의 엔트리를 살펴보면
- 부트 플래그, 시작 CHS주소, 파티션 타입, 끝 CHS주소, 파티션 시작 LBA주소, 파티션 총 섹터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.
- 부트 플래그: 1바이트
> 해당 파티션이 부팅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알려준다.
> 0x80이면 부팅 가능
>0x00이면 부팅 불가능
- 시작CHS주소: 3바이트
> 시작 CHS주소는해당 파티션의 실린더 / 헤더 / 섹터 방식의 시작 주소를 나타낸다.
> 현재는 디스크 주소체계가 LBA방식을 사용하여 의미가 없다.
> 과거 CHS방식과 호환성을 위해 존재한다.
> 해당 값이 00으로 채워져 있어도 동작에는 관계없음
- 파티션 타입: 1바이트
> 파티션에 설치되어 있는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알려준다.
> FAT32, NTFS 등 파일시스템이 어떤 것이 사용되었는지 확인 가능하다.
> FAT32: 0x0B( 0x0C ) / NTFS : 0x07로 사용
- 끝 CHS 주소: 3바이트
> 시작 CHS주소와 같이 현재는 사용되지 않음
- 파티션 시작 위치: 4바이트
> 해당 파티션이 시작하는 처음 LBA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
> 해당 위치로 이동하면 BR지점으로 이동 가능
- 파티션 총 섹터: 4바이트
> 해당 파티션이 가지고 있는 총 섹터 수를 나타낸다.
> 파티션의 총 섹터 수를 구하면 파티션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체 용량을 계산 가능하다.
'NCS보안3기 > 디지털 포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orensics] 파티션 복구 실습 III (0) | 2017.04.26 |
---|---|
[Forensics] 파티션 복구 실습 II (0) | 2017.04.26 |
[Forensics] 파티션 복구 실습 I (0) | 2017.04.25 |
[Forensics] MBR (0) | 2017.04.24 |
[Forensics] FORENSIC (0) | 2017.04.24 |